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Apache
- 밑바닥부터시작하는딥러닝
- MySQL
- 머신러닝
- 한빛미디어
- 프로그램새내기를위한자바언어프로그래밍
- Lamp
- word2vec
- 수동설치
- 소스설치
- 예제중심HTML&자바스크립트&CSS
- 생활코딩
- AndroidStudio를활용한안드로이드프로그래밍
- image
- 논문리뷰
- 컴파일설치
- 밑바닥부터시작하는딥러닝2
- 셀레니움
- Crawling
- CBOW
- deeplearning
- Selenium
- 한빛아카데미
- 딥러닝
- 크롤링
- aws
- jupyter
- 가비아
- attention
- 비지도학습
- Today
- Total
목록It공부 (94)
안녕, 세상!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SLw3V/btqCNGcb6eA/7LvHxmvc6cLsd45QyKTOC0/img.png)
① 리스트 - 순서대로 자료를 저장하는 자료구조입니다. - 여기서 순서란 차례로 한줄을 세웠다는 뜻입니다. - 한 줄은 줄을 세울 때 연결되는 앞 항목과 뒤 항목이 모두 1개라는 뜻입니다. - 한 줄로 연결된 구조를 선형 구조 라고 합니다. - 리스트는 선형 구조입니다. ② 리스트 사용 과정 리스트를 만드는 과정을 예시를 들어 설명하겠습니다. 리스트에 정수자료 10, 20, 30 순서로 값을 입력하고 실제 저장되는 순서를 30 10 20 으로 하겠습니다. (1) 새로운 자료 추가 1. 리스트를 만듭니다. 2. 자료 10을 입력받아 리스트에 저장합니다. - 비어있는 리스트에 새로운 자료를 추가하는 경우는 첫 번째 위치에 자료를 추가합니다. - 리스트 중간이 비어 있는 것은 비정상적인 오류입니다. 3. 자료..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I19cU/btqCIENgKF8/pxkNTNpgYHFkKzlik0UR9K/img.png)
① 클래스와 객체 클래스와 객체를 예시를 들어서 설명을 하겠습니다. 붕어빵 틀 -> 클래스(class) 붕어빵 틀에 의해서 만들어진 붕어빵 -> 객체(object) 클래스는 똑같은 무엇인가를 계속해서 만들 수 있는 설계 도면(붕어빵 틀)이고, 객체는 클래스로 만들어진 존재(붕어빵)입니다. 클래스로 만든 객체는 객체마다 고유한 성격을 띄며 객체들은 서로 전혀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클래스 형식 : class(매개변수): 적용할 코드 객체와 인스턴스의 차이 - 클래스로 만든 객체를 인스턴스라고 합니다. 다만 말로 표현하는 차이지 의미에는 큰 차이가 없습니다. - "붕어빵은 인스턴스"라는 말보다 "붕어빵은 객체"라고 말하는 것이 더 어색하지 않고, "붕어빵은 붕어빵 틀의 객체"라는 말보다 "붕어빵은 붕어빵 틀..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txBrg/btqCKgdvNkv/WeS6WQejGEOCPr8v3XpJ5k/img.jpg)
① 기본 함수 (1) 입력, 출력 함수 input 함수 - 사용자가 키보드로 정의한 변수에 직접 입력할 수 있게 제공해주는 함수 사용자가 입력하는 부분은 항상 Str형식으로 변수에 저장됨 형식 : 변수명 = input("입력 하는 부분에 나타내고 싶은 문자") 위의 그림처럼 나타내고 싶은 문자가 나오면서 사용자가 직접 입력할 수 있게 됩니다. 위에서 말했듯이 항상 str 자료형으로 저장됩니다. print 함수 - 출력해주는 함수 전에 설명했기 때문에 구체적인 예시는 생략하겠습니다. (2) 자료형 변환 함수 int , float, string 함수 - 자료형을 선언한 함수의 자료형으로 변경 형식 : int(변경할 값 또는 변수명) 숫자라고 하더라도 " "안에 값이 들어있으면 문자열 형식인 str형식이므로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ER0Ww/btqCB8hpvuQ/A3irkkWHyCA5ZZ8iEQiesK/img.jpg)
저번 설명에 이어서 두번째 자료형인 리스트부터 시작하겠습니다. (2) 리스트(List) - 문자열과 다르게 여러 개의 값을 담을 수 있고, 여러 종류의 자료형 값을 리스트안에 담을 수 있습니다. 즉, 자료형이 동일하지 않아도 모두 넣을 수 있습니다. - [ ] 대괄호에 값을 넣습니다. 위와 같은 경우 다음과 같이 값이 배치가 됩니다. a[0] a[1] a[2] 홍길동 35 24.2 (1) 리스트 다중차원 리스트는 다중차원이 가능하며 보통 1,2,3차원 리스트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각 차원의 리스트들도 문자열과 마찬가지로 특정 칸을 따로 출력할 수 있습니다. c3[1][0][1]은 c3[1]즉 [[5,6,7],[7,8,9]] 중에서 c3[1][0]에 해당하는 [5,6,7] 중에서 c3[1][0][1]인 ..